티스토리 뷰
개요
- 리눅스에서
cat
,tail
,find
,grep
와 같은 명령어의 사용법을 잘 숙지하고 있으면, 텍스트 파일(주로 로그 파일)에 대한 자유로운 검색 및 가공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이 명령어들에 대한 사용법을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tail 명령어 사용 예
tail
명령어의 사용 예는 아래와 같다.
# foobar.log의 새로 추가되는 라인을 실시간으로 출력
$ tail -f foobar.log
# foobar.log 파일의 1000번째 라인부터 끝까지 출력
$ tail --lines=+1000 foobar.log
find 명령어 사용 예
find
명령어의 사용 예는 아래와 같다.
# access.log 파일이 존재하는 모든 전체 경로를 출력
$ sudo find / -name "access.log"
# access.log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에서 foobar가 포함된 라인만 출력
$ find access.log* -type f -exec cat {} \; | grep "foobar"
grep 명령어 사용 예
grep
명령어의 사용 예는 아래와 같다.
# foo 문자열을 포함한 라인을 모두 출력
$ cat foobar.log | grep "foo"
# foo 문자열을 포함한 라인을 모두 출력하되, 키워드를 컬러로 강조 (강력히 추천)
$ cat foobar.log | grep --color "foo"
# foo 문자열을 포함한 라인을 출력하되, 맨 앞에 라인 위치를 출력 (강력히 추천)
$ cat foobar.log | grep -n "foo"
# 현재 계정에 자주 쓰는 옵션을 영구적으로 반영
$ nano ~/.bashrc
export GREP_OPTIONS='--color=always -n'
# foo 문자열을 포함한 라인과, 그 뒤의 라인 3개를 함께 출력
$ cat foobar.log | grep -A 3 "foo"
# foo 문자열을 포함한 라인과, 그 앞의 라인 3개를 함께 출력
$ cat foobar.log | grep -B 3 "foo"
# 같은 라인에 foo 문자열은 포함하되, bar 문자열은 제외한 라인만 출력
$ cat foobar.log | grep "foo" | grep -v "bar"
# key=value 패턴의 문자열을 추출
# "foo="로 시작하면서 ","로 끝나는 문자열만 출력 (라인에서 해당하지 않는 부분은 제거)
$ cat foobar.log | grep -oE '(foo=)[^,]*'
foo=bar
# key=value 패턴의 문자열을 숫자 값 조건에 따라 추출
# "process_time=100" 이상인 문자열 추출
$ grep 'process_time=\(1[0-9][0-9]\|[0-9][0-9][0-9]\|[0-9][0-9][0-9][0-9]\{3,\}\),'
process_time=150
참고 글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로드 바이크
- CentOS
- bootstrap
- Spring Boot
- DynamoDB
- Kendo UI Web Grid
- node.js
- 구동계
- graylog
- chrome
- Tomcat
- Kendo UI
- Docker
- MySQL
- 알뜰폰
- jpa
- jstl
- 자전거
- 평속
- Spring MVC 3
- JHipster
- maven
- JavaScript
- Eclipse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jsp
- 로드바이크
- java
- spring
- kotli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