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ylog REST API Graylog REST API는 Graylog에 저장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확실한 방법이다. 일반적인 목적이라면 Graylog Web Interface 만으로 충분하지만 타시스템과 연계된 자동화를 수행할 경우 Graylog REST API를 통해 웹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로 Graylog Web Interface 또한 모든 기능이 Graylog REST API를 사용하여 작동한다.)Graylog REST API의 장점은 백엔드에 위치한 Elasticsearch의 클러스터나 인덱스 등의 로우 레벨 성격의 정보를 몰라도 원하는 로그를 조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발자는 로그 조회 기능 자체에 집중할 수 있다.G..
Graylog란? Graylog는 ELK Stack, Grafana와 경쟁하는 오픈 소스 로그 관제 솔루션이다. 애플리케이션이 전송한 로그 메시지의 적재와 조회, 시각화 등의 기본 기능 외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크게 Graylog Server(Java 기반), Elasticsearch(로드 데이터 저장소), MongoDB(환경설정 저장소)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로그를 거의 실시간으로 구조화하여 적재할 수 있다. 구조화된 로그가 필요한 이유 그렇다면 외부 애플리케이션을 써서라도 어째서 구조화된 로그 수집이 필요한 것일까? AI의 등장과 함께 이제 애플리케이션 로그는 사람이 보는 정보가 아니라 기계가 분석하는 정보가 되었다. 기계가 로그를 분석하려면 기존의 전통적인 라인 단위..
- Total
- 2,773,076
- Today
- 214
- Yesterday
- 1,287
- jstl
- java
- JavaScript
- MySQL
- DynamoDB
- Kendo UI
- Spring Boot
- 로드바이크
- 평속
- jpa
- node.js
- Eclipse
- jsp
- CentOS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JHipster
- chrome
- Kendo UI Web Grid
- jQuery
- graylog
- 로드 바이크
- 자전거
- Spring MVC 3
- Docker
- kotlin
- maven
- bootstrap
- spring
- 알뜰폰
- 구동계